◆ 프로그램 요약
• 대상 | 초등학생 4학년 ~ 고등학교 3학년사 |
• 주요 내용 | 심리유형을 활용하여 일하는 방식과 가치를 탐색하기 |
• 강의 방식 | 강의, 토의, 사례, 영상, Q&A |
• 기대 효과 | 자기이해 향상, 진로정체성 향상 |
◆ 프로그램 소개
M1. 도형심리를 활용하여 직무태도를 탐색하기 | |
1. 진로탐색에서 어려움을 겪는 원인 - 직업 적합도(흥미, 적성, 성격)의 중요성 - 포트폴리오의 중요성 2. 나의 에너지 방향(E-I) 알아보기 - 외향(E), 내향(I)의 특징 - 특징에 따라 대화 및 상호 피드백 주고 받기 3. 생활방식(J-P)을 이해하기 - 계획(J)과 적응(P)의 특징 - 소통에서 나의 취약한 부분에 대해 대화하기 4. 도형심리를 통한 직무태도를 알기 - 정사각형(IJ), 타원형(IP), 정원형(EP), 정삼각형(EJ)의 특징 - 도형심리를 적용한 직무태도 탐색 및 피드백 | 120분 |
M2. 정보수집 방식과 의사결정 방식에 적합한 직업군 탐색하기 | |
1. 대화방식으로 살펴보는 정보수집(S-N) - 감각(S)과 직관(N)의 특징 - 현실적 소통 vs 미래지향적 소통 2. 갈등상황으로 살펴보는 의사결정(T-F) - 사고(T)와 감정(F)의 특징 - 갈등상황별 사례 나눔 - 심리다이아 모형을 활용한 Mind Play 3. 심리기능 유형에 따른 직업군 탐색하기 - 실무현장형, 다정다감형, 이상주의형, 분석탐구형의 특징 - 각 유형에 가까운 직업군 알기 - 성격을 적용한 진로탐색의 주의사항 | 60분 |
◆ 프로그램 요약
• 대상 | 초등학생 4학년 ~ 고등학교 3학년사 |
• 주요 내용 | 심리유형을 활용하여 일하는 방식과 가치를 탐색하기 |
• 강의 방식 | 강의, 토의, 사례, 영상, Q&A |
• 기대 효과 | 자기이해 향상, 진로정체성 향상 |
◆ 프로그램 소개
M1. 도형심리를 활용하여 직무태도를 탐색하기 | |
1. 진로탐색에서 어려움을 겪는 원인 - 직업 적합도(흥미, 적성, 성격)의 중요성 - 포트폴리오의 중요성 2. 나의 에너지 방향(E-I) 알아보기 - 외향(E), 내향(I)의 특징 - 특징에 따라 대화 및 상호 피드백 주고 받기 3. 생활방식(J-P)을 이해하기 - 계획(J)과 적응(P)의 특징 - 소통에서 나의 취약한 부분에 대해 대화하기 4. 도형심리를 통한 직무태도를 알기 - 정사각형(IJ), 타원형(IP), 정원형(EP), 정삼각형(EJ)의 특징 - 도형심리를 적용한 직무태도 탐색 및 피드백 | 120분 |
M2. 정보수집 방식과 의사결정 방식에 적합한 직업군 탐색하기 | |
1. 대화방식으로 살펴보는 정보수집(S-N) - 감각(S)과 직관(N)의 특징 - 현실적 소통 vs 미래지향적 소통 2. 갈등상황으로 살펴보는 의사결정(T-F) - 사고(T)와 감정(F)의 특징 - 갈등상황별 사례 나눔 - 심리다이아 모형을 활용한 Mind Play 3. 심리기능 유형에 따른 직업군 탐색하기 - 실무현장형, 다정다감형, 이상주의형, 분석탐구형의 특징 - 각 유형에 가까운 직업군 알기 - 성격을 적용한 진로탐색의 주의사항 | 60분 |